가끔 가슴 쪽이 허하거나 화끈거리실 때가 있지 않으신가요?
그건 위에서 올라오는 신물 즉 위산 때문인데요.
흔히 우리가 알고 있는 역류성 식도염의 원인으로
위산이 거꾸로 올라와 식도에 염증이 생기면서 발생하는 질병입니다.
요즘 현대인들의 식습관이 서구화로 변하면서 많이 생기는 질병인 만큼
식습관의 영향을 많이 받는 증상인데 어떻게 관리해야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 원인 🔎
1. 식습관
신물이 가장 많이 올라는 요인으로는 식습관을 뽑을 수 있습니다.
맵거나 짠 음식 혹은 기름진 음식을 섭취함으로써 위산이 과다 분비 되면서
위가 감당하지 못하고 하부 식도 괄약근이 열리게 돼 위산이 역류하는 증상이 생기게 됩니다.
술, 커피, 과식등도 위와 같은 증상이 생기는데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2. 위장기능 저하
위장의 기능이 저하하게 되면 음식을 소화시키지 못한 채 위장에 남게 되고
음식물들이 쌓여 위에 압력이 점점 상승하게 돼 위산이 역류하게 됩니다.
위장의 기능이 좋지 못하면 하부 식도 괄약근의 기능도 점점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해
악순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3. 식사 후 바로 눕는 습관
식후 바로 눕게 되면 음식을 소화시키는 과정에서 나오는 음식물과 위산이 위로 올라올 수 있습니다.
그래서 보통 3시간 이후에 눕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 중 하나이고, 몸이 안좋아 누워야 한다면
45도 정도 몸의 각도를 맞춘 뒤 누우면 효과적입니다.
4. 스트레스
스트레스를 받으면 소화기관의 기능이 저하돼 소화불량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 상태에서 음식을 섭취하게 되면 소화장애가 발생해 위산이 역류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 자가진단 🩺
✔ 명치에 통증이 있다.
✔ 가슴이나 명치 쪽에 화끈거림이 있다.
✔ 속쓰림으로 수면하기 힘들다.
✔ 헛구역질이나 구토증상이 있다.
✔ 조금만 먹어도 배부르거나 더부룩하다.
✔ 목조임이나 이물감이 있다.
이와 같은 증상들이 있다면 병원에 가서 진단을 받으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 합병증 😳
✔ 역류성 식도염
✔ 위염
✔ 위궤양
✔ 위암
✔ 식도암
✔ 구취
✔ 천식
✔ 쉰 목소리
✔ 만성기침
✔ 연하장애
✅ 관리방법 🙋♂️
1. 식습관
기름진음식이나 인스턴트 맵고 짠 음식은 가급적 섭취를 자제하는 것이 좋고,
담배, 술, 커피, 탄산음료도 이와 마찬가지입니다.
기름진 음식이나 커피는 위산을 증가 시키고, 맵고 짠 음식과 술은 위 점막을 손상시키며,
탄산음료는 식도 괄약근을 자극해 위산을 역류하는데 영향을 줍니다.
그리고 비만 또한 위산 역류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체중감량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위에 좋은 음식으로는 브로콜리, 양배추, 알로에, 생강차, 마, 바나나 등이 있으며
섭취방법에 따라 효과가 다를 수 있으니 올바른 섭취를 위해선 알아보고 먹는 것을 추천하고
바나나나 마 같은 경우는 공복보단 식후 섭취가 좋습니다.
2. 운동
적당한 운동은 위장운동을 활발하게 하여 소화불량이 일어나는 것을 막아줍니다.
식전이나 식후 운동하는 것 모두 좋지만 식후에 운동할 경우엔 적어도
30분에서 1시간정도 텀을 둔 뒤에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바로 운동할 경우 음식물과 위산이 역류할 확률이 높습니다.
3. 제산제 복용
관리를 잘 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계속 이러한 증상이 나타난다면
위산을 줄여주는 제산제를 복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위산이 줄어듬으로써 역류하거나 위 점막을 손상시키는 확률이 줄어듭니다.
하지만 장기간 복용하게 되면 위에 나오는 위산 자체의 양이 줄어들어
오히려 소화장애를 일으킬 수 있으니 전문의와 복용기간을 상의한 후 복용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이렇게 관리하다가 괜찮아졌다고 방심하게 된다면 다시 역류할 가능성은 무려 70% 이상이라고 합니다.
그렇게 때문에 방심하지말고 건강을 위해서라면 꾸준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목에 뭐가 걸린느낌 목 이물감의 원인은 무엇일까요? (0) | 2023.05.02 |
---|---|
비염이 걸리는 원인과 관리하는 방법 (0) | 2023.04.26 |
위암을 예방하고 위 관리하는 방법 (0) | 2023.04.13 |
공복혈당을 낮추는 방법 (0) | 2023.04.13 |
머리 안 빠지게 탈모 관리하는 방법 (0) | 2023.04.13 |
댓글